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타입스크립트

2024년 10월 26일

인프런 강의 "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타입스크립" 강의를 듣고 타입스크립트의 기본 원리부터 사용 방법 등 학습하고,강의에서 배운 내용을 정리하고 한입 FE 챌린지의 과제를 통해 부족한 점을 학습합니다.

DAY 1

  • 2024년 10월 26일

타입스크립트

타입스크립트는 자바스크립트의 타입 시스템을 추가해 안정성을 추가한 언어이다.

타입 시스템이란 언어의 타입 관련된 문법체계로 정적 타입 시스템동적 타입 시스템으로 나뉜다. 자바스크립트와 파이썬 같은 언어는 동적 타입 시스템의 언어로 코드를 실행 후 유동적으로 타입이 결정되는 자유롭고 유연한 시스템이고 C언어와 자바와 같은 정적 타입 시스템언어는 코드 실행 전 모든 변수의 타입을 설정해야하는 엄격하고 고정적인 시스템이다.

하지만 타입스크립트는 두가지 장점을 모두 사용할 수 잇는 점진적 타입 시스템을 채택하여 코드 실행 전 타입을 검사를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고 자동으로 타입도 추론할 수 있다.

타입스크립트 동작 원리

우리가 작성한 코드가 실행하려면 프로그래밍언어를 컴퓨터 언어로 바꿔줘여하는데 이 과정을 컴파일(Compile)이라고 하고 컴파일을 통해 프로그래밍 언어가 바이트 코드형태로 변환된다, 그 과정을 도와주는 것이 컴파일러이다.

타입스크립트도 이러한 과정을 거치는데, 타입스크립트 실행되는 과정을 살펴 보면 아래와 같다. 타입스크립트 -> AST(추상 문법 트리) -> 타입 검사 -> 컴파일 -> 자바스크립트 -> AST -> 바이트 코드 -> 실행